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일보
“로봇과 AI 시대, 인간성 소멸을 경고하고 싶었다”


“기술적인 진보에 대한 성찰이나 반성 없이는 로봇이나 인공지능(AI) 등이 산업에 의해 욕망의 도구가 될 수도 있고, 나아가 인간성조차 소멸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 대해 경고하고 그것에 대한 성찰을 요구하고 싶었어요.”

인간과 로봇의 관계를 비판적이고 흥미진진하게 다룬 장편 ‘언맨드(Unmanned)’로 국내 대표적인 장편문학상인 ‘2021년 세계문학상’을 거머쥔 채기성(44) 작가는 작품을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었느냐고 묻자 이같이 답했다.

작품은 로봇이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 노동을 대신하거나 또는 친화적으로 도와주면서 로봇과 인간, 로봇과 로봇 등이 다양한 측면에서 갈등하고 대립하는 것을 통해 기술과 삶, 존재와 기억 등 철학적인 문제까지 과감하게 밀고나간 문제작이다.

그는 이미 2019년 신문사 신춘문예에 등단한 뒤 몇 편의 단편을 발표한 기성작가다. 단편과 장편에서 모두 자질과 역량을 갖고 있음을 증명한 셈. 현재 기업에서 마케팅 홍보 및 브랜딩 전략 업무를 맡고 있다.

채 작가는 지난달 19일 세계일보 사옥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처럼 한 인간의 감정 내면을 보편적으로 스토리나 구조로 담아내고 싶다”고 기염을 토했다. 그의 말투는 차분하고 조곤조곤했다.


―작품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왔는지.

“홍보 쪽 일을 하는 아내가 ‘산업 기반이 되고 있는 로봇이나 AI가 인간 노동을 대체하는 것을 소재로 해서 쓰면 어떻겠느냐’라고 아이디어를 줬어요. 이를 고민하고 있을 때, 과학자와 인문학자가 대담하는 한 공영방송 대담 프로그램을 보다가 과학자는 기술의 진보를 이야기하고 인문학자는 기술 진보에 따르는 그림자를 얘기하는 대목을 봤어요. ‘앞으로 과학이 발전하더라도 인간성의 완충이라는 것이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 인문학자가 과학자에게 질문을 던지자, 과학자는 ‘인간에게 이로운 일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것이 먼저’라고 대척점에서 얘기하더군요. 이것을 소재와 연관시켜 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플랫폼에 의해, 로봇에 의해 기존 노동자들이 직무가 사라질 수 있겠다고 생각해 소설을 쓰게 됐지요.”


―집필 시기가 대체로 코로나19와 겹쳤을 것 같다.

“오히려 코로나19가 도움이 됐어요. 산업이나 생활에서 디지털화가 앞당겨졌고, 인간 사회의 거리를 어느 정도 띄워 놓는 작용을 했지요. 사람들이 거리를 둬야 하는 부문이 있는데, 그런 부문에서 인간의 정서라든가, 기억이라든가 하는 것들을 녹여낼 수가 있었어요.”


―직장을 다니는 데다가 아이도 어려 작품쓰기가 어려웠을 텐데.

“아이를 밤 10시에서 10시 반쯤 재우고 그때부터 새벽 1, 2시까지 서너 시간 작업을 했어요. 피곤해서 아이랑 같이 자면 새벽에 깨게 되는데, 일어나 두세 시간 정도 글을 쓰곤 했지요. 글을 쓰지 않는 날이 없을 정도로 거의 매일 썼어요. 너무 피곤했지요. 가끔 대체 이 짓을 왜 하는지 모를 때도 많았고요. 등단하고 나서 일종의 형벌처럼, 의무처럼 글을 썼던 것 같습니다. (하루 몇 시간 정도 쓴 건가) 주말 같은 경우는 5시간, 평일에는 적으면 2시간, 많으면 서너 시간 정도 썼던 것 같아요.”

1977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1996년 가톨릭대학교에 입학해 심리학과 철학을 복수 전공했다. 2003년 중견 식품가공회사에 취직한 그는 3년여 치즈를 수입하고 구매하는 일을 했다고 한다. 창조적인(creative) 일을 하고 싶어 회사를 옮긴 뒤 마케팅 홍보와 브랜딩 전략 업무를 해왔다.


―문학적 삶에 대해 조금 말해 달라.

“12세 때 우연히 한 방송에서 성우들이 여류 작가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을 극화해 낭송하는 프로그램을 보게 됐는데, 여성들의 목소리에 제 마음이 울리는 것을 경험했어요. 여성들의 목소리를 내면에서 내고 싶다는 생각이 든 이후 글에 대한 열망을 갖게 됐고, 언젠가는 소설을 쓰겠다고 생각을 했지요.”

2005년부터 신춘문예나 문예지 등에 투고하기 시작했고, 30대 후반에 이르러 ‘안 되면 어떻게 되지’라는 위기의식이 들면서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2019년 신문사 신춘문예로 이미 등단했는데.

“신춘문예로 문단에 등단했지만, 큰 주목을 받지 못했어요. 같이 등단한 작가들이 다른 지면에 실리는 것을 소외된 마음으로 지켜보면서 조급증이 생기기도 했지요. ‘원했던 길에 들어섰는데 자칫하면 사라질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도 들었고, ‘우연으로 당선된 것 아닌가’ 하는 자괴감도 들었지요. 투고도 쉽지 않았고, 문예지도 계속 줄어들었어요. 차로가 좁고 교통체증이 심한 것으로 느껴졌죠. ‘차로를 바꿔야 겠다’고 생각해 ‘체급을 올리는 기분으로’ 장편을 쓰기 시작했지요.”


―10년 후는 어떤 모습일까, 작가로서의 꿈을 들려 달라.

“등단하고 나서 소외된 시절을 보내왔기 때문에 상을 받는 기쁜 순간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지요. 규모가 큰 대회의 상인 데다가 어렸을 때 열망하던 작가들이 받은 상이어서 더 무겁게 느껴지더군요. 첫 등단할 때는 마냥 기뻤지만, 언젠가 사라질 수 있다는 두려움이나 공포의 크기도 같은 무게 값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박경리의 ‘토지’처럼 한 인간의 감정 내면을 보편적 구조로 담아내고 싶어요. 인간에 내재하는 감정의 소산을 이야기와 결합시켜 드러내보고 싶습니다.”